본문 말씀: 요한복음 21:18~25
18.내가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네가 젊어서는 스스로 띠 띠고 원하는 곳으로 다녔거니와 늙어서는 네 팔을 벌리리니 남이 네게 띠 띠우고 원하지 아니하는 곳으로 데려가리라.
19.이 말씀을 하심은 베드로가 어떠한 죽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을 가리키심이러라 이 말씀을 하시고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나를 따르라 하시니.
2.0베드로가 돌이켜 예수께서 사랑하시는 그 제자가 따르는 것을 보니 그는 만찬석에서 예수의 품에 의지하여 주님 주님을 파는 자가 누구오니이까 묻던 자더라.
21.이에 베드로가 그를 보고 예수께 여짜오되 주님 이 사람은 어떻게 되겠사옵나이까.
22.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올 때까지 그를 머물게 하고자 할지라도 네게 무슨 상관이냐 너는 나를 따르라 하시더라.
23.이 말씀이 형제들에게 나가서 그 제자는 죽지 아니하겠다 하였으나 예수의 말씀은 그가 죽지 않겠다 하신 것이 아니라 내가 올 때까지 그를 머물게 하고자 할지라도 네게 무슨 상관이냐 하신 것이러라.
24.이 일들을 증언하고 이 일들을 기록한 제자가 이 사람이라 우리는 그의 증언이 참된 줄 아노라.
25.예수께서 행하신 일이 이 외에도 많으니 만일 낱낱이 기록된다면 이 세상이라도 이 기록된 책을 두기에 부족할 줄 아노라.
[3대지 설교]
베드로의 과거 – 젊었을 때, 스스로 띠 띠고- 자기 마음대로 살았다.
베드로의 현재 – 믿지만 두려움이 있다.
베드로의 미래 – 사명에 따라 살게 될 것이다.
요한복음의 마지막 부분을 읽었습니다. 요한은 자신이 직접 목격한 예수님의 이야기를 제3자 입장에서 서술해 가면서 기록을 하였습니다.
예수님이 십지가를 지시던 날 새벽에, 베드로는 3번이나 예수님을 부인하고 도망갔습니다. 예수님이 부활하신 이후에, 이러한 베드로에게 예수님은 반복해서 3번이나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x 3”라고 묻습니다. 베드로는 잘못을 깊이 뉘우치며 “내가 주님을 사랑합니다.” 말을 합니다. 예수님은 베드로의 대답을 들으면서 “나를 따르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명령은 요한복음 1장에도 나오죠. 요한복은 21장에서 이 말의 의미는 말 만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라 라는 것입니다.
베드로가 다시 망설이고 있을 때, 요한이 먼저 예수님을 따르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베드로는 예수님께 요한의 사명과 물었습니다. “요한은 어떻게 되나요?”
이 때에 베드로는 요한에 대하여 어떠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친구에 대한 우정 때문에 나온 관심이었을까요? 아니면
무엇이든 모범이 된 요한에 대한 비교 의식에 나온 질투심이었을까요?
예수님이 “너와 무슨 상관이야 너는 나를 따르라”라고 말씀하신 것을 보니 예수님도 이것은 베드로가 비교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우리는 인간적인 입장에서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남과 비교하지 말라고 단호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요한에게는 요한의 인생이 있고, 베드로 너에게는 너의 인생이 있다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비교 의식은 언제나 결론이 좋지 않습니다. 자기가 다른 사람보다 더 낫다고 생각하여 교만해지거나, 아니면 남보다 더 못하다고 생각하여 기가 죽는 것입니다.
요한은 모범적인 제자였습니다. 베드로는 요한과 비교하면 못난 사람이였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각각 사명이 다르다고 말씀하십니다.
내가 하나님께 중요한 3 가지 이유
1) 나의 신분 – 하나님이 나를 유일하게 창조하셨다.
2) 나의 가치 – 예수님이 나를 위하여 자신의 생명을 주셨다.
3) 나의 가능성 – 성령의 능력으로 나를 변화시키신다.
1) 나는 누구입니까? 나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존재입니다. 그 무엇보다도 내가 다른 사람이 구별되는 독특한 개성을 소유한 독창적인 존재입니다. 나와 똑 같은 사람은 없습니다.
2) 나는 하나님께서 나를 위하여 치르신 값 때문에 하나님께 중요한 존재입니다. 하나님이 나를 너무도 사랑하셔서 나를 위하여 독생자 외아들을 주셨습니다. (요한복음3:16)
그래서 무슨 일이 있어도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이 무가치하다고 말해서는 안됩니다. 그것은 인간적인 관점입니다. 어떤 사람은 게으른 사람일 수 있습니다. 미련하고 둔한 사람일 수 있습니다. 열받게 하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쌀쌀하고 차가운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모두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사람들입니다. 이런 사람들을 위하여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 가셨습니다.
3) 우리는 성령의 능력 아래서 장래에 무엇인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님께 중요한 존재입니다. 요한복음 1:42 지금은 시몬이지만 장래에는 게바 (반석)가 되리라.
지금은 작은 돌이지만 장래에는 큰 반석이 될 것이다.
지금은 겁쟁이지만 장래는 용기있는 자가 될 것이다.
지금은 비겁하지만 장래에는 위대한 지도자가 될 것이다.
과거의 잘못은 중요하지 않고 밑거름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다른 사람을 미워하지만 장래에는 용서와 사랑으로 가득 찰 것입니다.
지금은 내가 순결하지 못해도 장래에는 순결하게 될 것입니다. 지난 주 오후 성경 공부 때에 “성경적인 결혼” 을 공부하면서 순결해야 한다고 강조를 했습니다.
세상에서는 사람을 사용할 때 우선 여러 명을 경쟁하도록 만듭니다. 그리고 경쟁에서 이긴 사람만을 뽑아 씁니다. 하지만 이것은 하나님의 방식은 아닙니다. 하나님은 처음부터 어떤 사명을 위하여 일할 사람을 오직 한 사람만 택하십니다. 그리고 평생을 그를 훈련시킨 후에 그를 사용하십니다.
예수님이 12 제자들을 징모했을 당시에 제자들이 모두 잘나고 뛰어난 사람들 이였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모두 학식이 없는 사람들 이였습니다.
사도 바울을 택하였을 때에 경쟁에서 이긴 사람들이였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개별적으로 택하셨습니다.
모세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께서 바로 왕의 궁전에서 제일 잘난 왕자를 하나 골라서 이스라엘의 지도자로 삼으셨습니까? 아닙니다. 처음부처 탁 한 사람, 모세만을 키우셨습니다.
병사 여러분, 우리의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들 각자에게 독특한 사명이 있습니다. 그 사명은 오직 나를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나보다 아무리 나보다 똑똑하고 잘났다고 해도 내가 아니면 이 세상의 누구도 감당하지 못할 일들을 주십니다. 내가 하나님 안에 있을 때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자녀가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 부족한 저를 개별적으로 사랑해주시니 감사합니다. 베드로가 떨리고 두려워했지만 용기있는 지도자가 된 것 처럼 저희를 변화시켜 주시옵소서. 저희가 하나님께 귀하게 쓰임을 받는다는 확신을 가지고 살게 도우소서"
'주제별 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전 리스트 (0) | 2021.01.05 |
---|---|
하나님의 은혜 (0) | 2021.01.05 |
복음이란 무엇인가? (0) | 2021.01.04 |
성경의 유익 (0) | 2021.01.03 |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0) | 2021.01.03 |